최근 한 상업시설 프로젝트에서 건축물 출입구 위에 대형 캐노피(차양)를 계획하던 중,
건축면적 포함 여부를 잘못 판단하여 건폐율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건축법에서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캐노피 면적을 건축면적에서 제외할 수 있지만,
설계 시 이를 명확히 반영하지 않아 허가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습니다.
이처럼 캐노피 구조를 적용할 때는 건축면적 포함 여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캐노피의 건축면적 산정 기준과 설계 시 유의할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캐노피(Canopy)란?
캐노피(Canopy)란 건축물 출입구나 외부 공간 위에 설치하는 차양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주로 보행자를 비·햇빛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며,
설계 형태에 따라 건축면적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 캐노피의 주요 특징
• 건물과 일체형 혹은 별도 구조물로 설치 가능
• 보행자 보호 및 디자인 요소로 활용
• 건축면적 포함 여부는 구조와 개방성에 따라 달라짐
캐노피 건축면적 산정 기준
✅ 1) 건축면적에서 제외되는 경우
캐노피가 아래 조건을 충족하면 건축면적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 기둥 없이 건물 외벽에 부착된 경우
✔ 건축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1.0m 이하인 경우
✔ 보행자 보호, 차양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독립적인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 예시 1: 건축면적에서 제외되는 캐노피
• 기둥 없이 건물 벽에 부착된 차양
• 폭 1.0m 이하로 돌출된 캐노피
• 독립적인 공간으로 활용되지 않는 구조
🔗 관련 법규: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
연계정보
1. 건축법 시행령 [시행 2025. 1. 21.] [대통령령 제35221호, 2025. 1. 21., 타법개정]
www.law.go.kr
✅ 2) 건축면적에 포함되는 경우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건축면적에 포함됩니다.
✔ 기둥이 설치되어 독립된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 건축물 외벽으로부터 1.0m 이상 돌출된 경우
✔ 지붕 역할을 하며 독립적인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 예시 2: 건축면적에 포함되는 캐노피
• 기둥을 세워 설치한 구조물
• 1.0m 이상 돌출된 대형 차양
• 외부 공간과 결합하여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예: 테라스, 휴게 공간 등)
- 캐노피가 건폐율에 미치는 영향
건축면적에 포함되는 캐노피는 건폐율 산정에 영향을 미쳐 건축 가능 면적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반면, 건축면적에서 제외되면 건폐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건축면적 제외 → 건폐율 증가 효과
✔ 건축면적 포함 → 건폐율 제한으로 인해 설계 조정 필요
📌 설계 시 고려할 점
• 건축법상 돌출 길이 1.0m 이하로 조정 가능 여부 검토
• 기둥 없는 부착형 캐노피로 변경하여 건축면적 제외 유도
- 캐노피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1) 구조적 안전성 확보
• 강풍, 지진 등에 대비하여 구조 안전 검토 필수
• 지지 기둥 없이 벽체 부착형으로 설계하면 건축면적 제외 가능
🔗 관련 법규: 건축법 시행령 제32조(구조 안전의 확인)
연계정보
1. 건축법 시행령 [시행 2025. 1. 21.] [대통령령 제35221호, 2025. 1. 21., 타법개정]
www.law.go.kr
✅ 2) 도시계획 및 지자체 조례 확인
• 일부 지자체에서는 캐노피의 건축면적 포함 여부를 별도로 규정할 수 있음
• 지자체 조례 확인 후 설계 진행 필요
- 캐노피 설치 시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캐노피를 만들면 무조건 건축면적에 포함되나요?
👉 아닙니다. 건축법에서 정한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건축면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Q2. 캐노피에 기둥이 없으면 건축면적에서 제외되나요?
👉 네, 기둥이 없고 건축물 외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1.5m 이하로 돌출되면 건축면적에서 제외됩니다.
✅ Q3. 1.5m를 초과하는 캐노피는 건축면적에서 제외될 수 없나요?
👉 원칙적으로 건축면적에 포함되지만, 지자체별 허용 범위가 다를 수 있어 사전 검토가 필요합니다.
✅ Q4. 건축 허가 없이 캐노피를 설치할 수 있나요?
👉 건축물의 외관 및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건축 허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캐노피는 건축물의 디자인 요소뿐만 아니라 보행자 보호 및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설계 시 건축면적 포함 여부를 정확히 검토하지 않으면, 허가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축법과 지자체 조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불필요한 건폐율 초과 문제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축 법규와 실무 > 자주 혼동되는 건축법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물 대장 등재 절차에 대한 법규 및 기준] (57) | 2025.04.02 |
---|---|
[옥상 녹화 관련 법규 및 기준] : 설계 시 고려할 사항 (36) | 2025.03.22 |
[필로티 건축면적 산정 기준] : 면적산정 필수 가이드 (59) | 2025.03.20 |
[건축물 증축 시 필요한 절차 및 고려사항] : 증축 허가시 놓쳐서는 안될 사항 (30) | 2025.03.15 |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지표(EPI)] : 확인 방법 (55)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