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설계를 진행하다 보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에너지 성능지표(Energy Performance Index, EPI)’를 요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친환경 건축물 인증이나 에너지 절약형 건축 설계를 진행할 때 EPI 값은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일정 기준 이상의 EPI를 충족해야 녹색건축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 공공 건축물은 의무적으로 EPI 평가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EPI 산정 방식이나 적용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EPI의 개념과 확인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PI(에너지 성능지표)란?
EPI(Energy Performance Index)는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수치화한 지표로,
방, 냉방, 급탕, 조명, 환기 등의 에너지 사용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되며,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주요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난방/냉방 에너지 요구량
2. 신재생에너지 활용률
3. 고효율 설비 적용 여부
4. 단열 성능 및 창호 효율
5.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 여부
✔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연간 ㎡당 1차 에너지 소비량, kWh/㎡·yr)을 평가
✔ 난방, 냉방, 급탕, 조명, 환기 등 건물에서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원 포함
✔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EPI 기준값이 다르게 적용됨
- EPI 확인 방법
EPI는 건축허가 및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요소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관련 법규 및 기준 확인
• EPI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산출되며, 관련 법적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및 EPI 기준 확인
• EPI 기준 미달 시 보완 조치 필수
📌 관련 법규 및 기준 링크
건축물의에너지절약설계기준
www.law.go.kr
1. EPI 계산 프로그램 활용
• 국토교통부 및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제공하는 EPI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 가능
• 건축물의 구조, 창호, 단열 성능 등을 입력하여 에너지 성능 평가
* EPI 산정을 위해 국토교통부 및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제공하는 평가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건축물 에너지효율 평가 시스템 (BEER,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평가 프로그램 (ECO2, Energy COst Optimization 2)
2.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 건축물의 EPI 결과에 따라 1++~7등급으로 나뉨
• 높은 등급을 받을수록 세제 혜택 및 인센티브 제공
3. 연간 에너지 사용량 산정
건축물의 면적당 연간 에너지 사용량(1㎡당 kWh)을 산출해야 하며, 주요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물 외피 성능(단열, 창호, 기밀성 등)
• 설비 시스템(냉난방, 환기, 급탕, 조명 등)
• 신재생에너지 사용 여부
4. 친환경 건축 인증 연계 여부 확인
EPI 값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녹색건축 인증(G-SEED),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센티브를 적용받을 수도 있습니다.
EPI(에너지 성능지표)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꼼꼼히 검토하지 않으면 추가 공사 비용 발생 및 인허가 지연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EPI 평가 프로그램 활용 및 법적 기준 확인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건축 법규와 실무 > 자주 혼동되는 건축법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로티 건축면적 산정 기준] : 면적산정 필수 가이드 (59) | 2025.03.20 |
---|---|
[건축물 증축 시 필요한 절차 및 고려사항] : 증축 허가시 놓쳐서는 안될 사항 (30) | 2025.03.15 |
[건축물의 방음 시설 기준] : 층간소음 및 외부 소음 차단을 위한 필수 규정 (104) | 2025.03.11 |
[친환경 건축자재] : 사용 규정 및 기준 정리 (198) | 2025.03.08 |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 절차] : 친환경 건축을 위한 필수 가이드 (82)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