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법규와 실무/자주 혼동되는 건축법규 정리

[친환경 건축자재] : 사용 규정 및 기준 정리

강축사 2025. 3. 8. 19:09

건축 설계 과정에서 건축주가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을 받기 원했으나,

마감재 선정 과정에서 친환경 건축자재 적용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 인증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이처럼 친환경 건축자재의 법적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친환경 건축물 인증 취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규정을 미리 확인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친환경 건축자재란?

 

친환경 건축자재란?

유해물질 방출이 적거나 재활용이 가능한 건축자재

생산, 사용, 폐기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한 건축 재료

 

친환경 건축자재의 필요성

건축물 내 실내공기질 개선 및 거주자의 건강 보호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저감

녹색건축 인증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요건 충족

 

📌 관련 법령: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

 

www.law.go.kr

 

건축법 시행령 제61조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계획)

 

건축법시행령

 

www.law.go.kr


📌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규정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에 대한 규정은 법률, 인증제도, 지침 등을 통해 관리됩니다.

건축물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적용해야 할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해야 합니다.

 

 

 

 

 


1. 법적 규정에 따른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기준

 

1)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건축물의 신축·리모델링 시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을 권장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자재 사용 시 녹색건축물 인증 가점 부여

 

2) 실내공기질 관리법

실내 마감재료(페인트, 접착제, 합판 등)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방출 기준 충족 필수

유해물질 방출 최소화 기준 적용

 

3)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건축물의 단열성능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고효율 단열재 및 저방사율 유리(Low-E) 사용 권장

 

📌 관련 법령: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11조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제한 등)

 

실내공기질관리법

 

www.law.go.kr

 

 

 

 

 


2.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 기준

 

1) 환경표지 인증 (EL, Environmental Label)

국내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 제도

유해물질 방출 저감, 에너지 절감, 재활용성 기준 충족 필수

 

2) HB 마크 (Healthy Building Material)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건축자재 인증

접착제, 페인트, 합판 등의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기준 적용

 

3) 녹색건축 인증 (G-SEED,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건축물 전체의 친환경 요소 평가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시 가점 부여

 

📌 관련 자료:

환경표지 인증제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건축 인증제도 (국토교통부)

 


3.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사례 및 적용 방법

 

1) 바닥재 및 벽지

친환경 인증을 받은 목재, 타일, 친환경 페인트 사용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이 낮은 자재 선택 필수

 

2) 단열재 및 창호

고효율 단열재(친환경 우레탄, 글라스울, 셀룰로오스 섬유) 적용

저방사율 유리(Low-E Glass) 및 기밀성이 높은 창호 사용

 

3) 친환경 콘크리트 및 철강재

재활용 가능한 콘크리트 및 철강재 적용

탄소배출 저감형 시멘트 및 재생 골재 활용


친환경 건축자재는 환경 보호와 건강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핵심 요소

법적 기준 및 인증 요건을 충족해야 함

녹색건축물 인증, 실내공기질 개선, 에너지 절약 효과 기대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