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법규와 실무/자주 혼동되는 건축법규 정리

[건축물 방음 기준] : 실내 소음 차단을 위한 법적 규정 및 설계 기준

강축사 2025. 2. 16. 00:09

최근 아파트 단지의 층간소음 문제로 인해 입주민 간 분쟁이 발생한 사례가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이 기준에 미달해 재시공 및 보상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이처럼 건축물의 방음 기준을 정확히 적용하지 않으면 준공 후에도 문제 발생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법적 방음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건축물 방음 기준이란?

 

건축물의 내부 소음을 줄이고 외부 소음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법적으로 정해진 차음 성능 및 소음 허용 기준을 의미합니다.

 

적용 대상: 주거용 건축물(아파트, 오피스텔), 업무시설, 공공건축물 등

목적: 실내 소음 저감, 층간소음 방지, 주거 환경 개선

 

📌 관련 법령: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안정 및 검사기준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검사기준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www.law.go.kr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www.law.go.kr

 


- 건축물 방음 기준 상세 내용

 

1.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 기준

 

중량 충격음 차단 성능:

바닥구조 성능시험 결과 48dB 이하 충족 필수

중량 충격음(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리는 소리)을 차단하는 기준

 

경량 충격음 차단 성능:

경량 충격음(가구 이동, 망치 소리 등) 기준 1등급(58dB 이하) 충족 권장

 

소음 저감 바닥 구조 적용 의무:

바닥 슬래브 두께 210mm 이상 또는 바닥 차음재 사용 필수

 

📌 관련 법령: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 안정 및 검사기준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검사기준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www.law.go.kr

 

 

 

2. 실내 소음 허용 기준

 

일반 생활공간 소음 기준

주거시설: 주간 55dB 이하, 야간 45dB 이하

업무시설: 주간 60dB 이하, 야간 50dB 이하

 

공공건축물 실내 소음 기준

병원, 도서관: 주간 50dB 이하, 야간 40dB 이하

 

📌 관련 법령: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 실내 소음 기준

 

환경정책기본법시행령

 

www.law.go.kr

 

3. 창호 및 외벽 차음 기준

 

창호 차음 성능 기준

도로변 공동주택의 경우 창호 차음 성능 30dB 이상 확보

복층 유리 및 이중창 적용 권장

 

외벽 및 옥상 차음 기준

벽체 두께 증가 및 방음재(흡음재) 적용 필요

 

📌 관련 법령: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소음진동관리법시행규칙

 

www.law.go.kr


- 실무에서 자주 헷갈리는 방음 기준

 

Q1. 층간소음 기준은 법적으로 강제 적용되나요?

2014년 이후 착공한 공동주택은 의무 적용 (미달 시 준공 불가)

 

Q2. 바닥 차음재를 사용하면 층간소음 해결이 되나요?

차음재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슬래브 두께 및 바닥 마감재와 함께 설계해야 효과적

 

Q3. 방음 설계를 위해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실내 벽체의 차음 성능, 문과 창호의 기밀성, 흡음재 사용 등이 중요


층간소음 및 실내 소음 관리를 위해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 철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방음 기준을 준수하지 않으면 입주 후 민원 발생 및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창호, 바닥구조, 외벽 등 차음 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설계가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