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설계 노하우/쉽게 이해하는 건축용어

엘리베이터 샤프트(Elevator Shaft)란?-수직 이동의 통로, 건축 설계의 핵심 공간

강축사 2025. 4. 13. 22:30

현대의 다층 건축물에서 엘리베이터는 단순한 편의 시설을 넘어 필수 구조요소입니다.

그리고 이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는 공간, 즉 수직 통로를 바로 “엘리베이터 샤프트(Elevator Shaft)” 라고 부릅니다.

이 글에서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정의, 구성요소, 건축에서의 중요성 등을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게요.


 

- 엘리베이터 샤프트(Elevator Shaft)란?

 

엘리베이터 샤프트엘리베이터가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구조물 내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보통 철근콘크리트 벽체나 철제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건물의 가장 깊은 지하층부터 최상층(또는 기계실)까지 관통하는 형태로 설계됩니다.

 

쉽게 말해, 엘리베이터가 지나가는 ‘세로 터널’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피트(Pit) 샤프트 맨 아래 공간. 완충장치가 설치되며, 비상 상황에 대비
호이스트웨이(Hoistway) 엘리베이터가 실제로 움직이는 수직 공간
레일(Guide Rail) 엘리베이터가 수직으로 안정되게 움직이도록 안내
기계실 또는 기계실 상부 공간 전동기, 도르래, 제어장치 등이 위치하는 공간 (기계실 없는 시스템도 존재)
도어 존(Door Zone) 각 층마다 문이 위치한 부분. 승객이 승하차함
케이블 및 카운터웨이트 공간 승강기 케이블 및 추(카운터웨이트)가 함께 이동하는 공간 포함

 

 


 

 - 건축 설계에서의 고려사항

 

1. 구조적 안정성

  • 샤프트는 엘리베이터의 진동과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대부분
  • 고층 건물일수록 내진 설계가 중요

2. 화재 및 방화 기준

  • 샤프트는 건물 전체를 수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연기 확산 통로가 될 위험이 있음
  • → 따라서 방화구획, 셔터, 방연구역 등의 설치가 필수

3. 방음 및 진동 차단

  • 엘리베이터 운행 시 발생하는 기계 소음진동을 줄이기 위해 샤프트 외벽과 인접 거실, 사무실 사이에는 방진 설계 필요

4. 설비 통합 고려

  • 일부 고층건물에서는 MEP(기계·전기·배관) 설비와 통합된 형태로 샤프트 공간이 설계되기도 함

 


 

🛗 샤프트 종류에 따른 분류

유형설명

기계실형 샤프트 샤프트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존재함
기계실 없는(MRL, Machine Room-Less) 샤프트 기계실 없이, 기계장치가 샤프트 내 상부나 측면에 설치됨
더블덱 엘리베이터용 샤프트 두 대의 엘리베이터가 위아래로 연결된 구조. 초고층 건물에서 사용

 

 


 

📌 샤프트와 법규

 

건축법 및 관련 법령에 따라 샤프트는 다음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 방화구획 분리
  • 방연설비 설치
  • 비상전원 확보
  • 승강로(샤프트) 내 환기구 설치 등

 

또한 고층 건물의 경우 승강기 설치 의무,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배치, 비상용 엘리베이터 확보 등이 포함됩니다.

 


 

✨ 실제 적용 사례

 

  • 아파트: 일반적으로 1~2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박스형 샤프트
  • 호텔·병원: 객실용, 서비스용, 화물용 등 다양한 엘리베이터 샤프트가 분리되어 구성
  • 초고층 빌딩: 엘리베이터 교차층, 더블덱 시스템, 수평 셔틀 등 복잡한 샤프트 구성이 필요

 

- 마무리 정리

항목내용

정의 엘리베이터가 수직 이동하는 공간, 수직 샤프트
구성 요소 피트, 호이스트웨이, 레일, 문구역, 기계실 등
설계 포인트 내진성, 방화, 소음차단, 환기, 구조적 안전성
건축법 고려사항 방화구획, 비상전원, 방연설비 등 필수 요건 존재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건축물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을 좌우하는 필수 구조체입니다.

특히 고층 건축물이 많아지는 오늘날, 샤프트 설계는 단순한 수직 통로가 아니라 건축적 전략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