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설계 노하우/쉽게 이해하는 건축용어

비내력벽(Non-Bearing Wall)이란?-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공간 구성용 벽체

강축사 2025. 4. 14. 23:31

건축 도면이나 현장을 보다 보면 “비내력벽” 또는 “칸막이 벽”이라는 표현을 접하게 됩니다.

겉보기엔 일반 벽과 똑같아 보이지만, 이 벽은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건물의 기능적, 공간적 분할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죠.

이번 글에서는 비내력벽의 개념과 기능, 예시를 일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 비내력벽이란?

 

비내력벽(Non-Bearing Wall)은 건축물의 하중(무게)을 지지하지 않는 벽체입니다.

쉽게 말해, 건물의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벽, 즉 “칸막이” 역할을 합니다.

건물의 천장, 바닥, 상부 구조 등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며, 주요 구조체(기둥, 보, 내력벽)와는 별도로 시공됩니다.

 

📌 비내력벽은 ‘떼었다 붙일 수 있는 벽’이라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 비내력벽의 주 용도

공간 구분 사무실, 주택, 병원 등에서 내부 공간을 나누기 위한 벽
프라이버시 확보 시각적 차단을 통해 사적인 공간 구성
인테리어 효과 다양한 마감재, 색상, 텍스처로 시각적 연출 가능
설비 내장 전선, 파이프, 스프링클러 등을 숨기는 공간으로 사용

 

 


 

- 비내력벽 vs 내력벽, 어떻게 다를까?

하중 지지 여부 지지함 지지하지 않음
철거 가능성 구조에 영향을 줘 철거 어려움 비교적 쉽게 철거 가능
위치 건물 구조 중심부, 외벽 등 내부 공간 구성 위주
대표 예시 콘크리트 외벽, RC 구조 벽 석고보드 칸막이, 유리 파티션 등

 

 


 

- 자주 사용되는 비내력벽 종류

 

  1. 석고보드 벽체 (Drywall)
  2. – 가장 일반적인 경량 칸막이로, 인테리어 변경 시 유연하게 적용 가능
  3. 유리 파티션
  4. – 사무실, 상업공간 등에서 개방감을 살리면서도 공간 분할
  5. 금속 프레임 칸막이
  6. – 가볍고 내구성이 좋아 공공건물이나 병원 등에서 많이 사용
  7. 가구형 칸막이 (Movable Partition)
  8. – 이동식 구조로 공간의 유연성을 제공

 


 

- 일상 속 예시

 

  • 아파트에서 거실과 방 사이를 나누는 경량벽
  • 병원의 검사실 간 구획
  • 회사 사무실의 회의실, 업무 공간 분할
  • 카페에서 분위기 구분을 위한 가벽 등

 

- 비내력벽의 철거와 리모델링

 

리모델링 시 “이 벽 철거해도 괜찮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이때 구조도면에서 비내력벽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내력벽은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게 철거하거나 재배치할 수 있어 리모델링에 유리한 요소입니다.

 

단, 일부 벽체에 전기·배관 설비가 매립되어 있을 수 있으니 철거 전 전문가의 검토는 필수!

 

 


 

- 정리

용어 비내력벽 (Non-Bearing Wall)
정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벽체, 주로 칸막이 역할
기능 공간 분할, 프라이버시 확보, 설비 내장, 인테리어
장점 가볍고, 철거 용이, 리모델링 유리
주의사항 설비 매립 여부, 화재 성능 등 확인 필요

 

 


 

비내력벽은 구조를 지탱하진 않지만, 사람의 동선과 생활을 설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유연한 공간 활용과 리모델링 가능성에서 큰 장점을 가지며, 현대 건축에서 빠질 수 없는 개념이죠.

 

혹시 비내력벽과 관련된 구조 변경, 리모델링 시공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이어서 안내해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