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설계 노하우/쉽게 이해하는 건축용어

전용면적과 공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등 - 면적 관련 용어 정리

강축사 2025. 3. 23. 20:22

건축과 부동산에서 면적 개념은 공간 활용과 거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전용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등의 개념은 아파트, 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등을 분양받거나 임대할 때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면적 용어들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전용면적 (專用面積, Exclusive Area)

 

전용면적은 건물 내에서 특정 사용자(세대, 점포 등)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 전용면적의 구성 요소

 

✔ 아파트: 거실, 방, 주방, 욕실, 현관 등

✔ 상업시설: 점포 내부, 사무실 내부 등

✔ 공통적으로 발코니(베란다), 다용도실 등은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음

 

🏗 전용면적의 특징

실질적인 주거 또는 업무 공간

건축법상 **“바닥면적”**에 해당

발코니 확장 시, 확장된 공간도 실질적 사용 면적에 포함 가능

 

📌 전용면적 예시

 

✅ **아파트 광고에서 “전용 84㎡”**라고 하면, 실내 거실과 방, 주방 등의 면적이 84㎡라는 뜻입니다.

✅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률이 낮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작을 수 있음.


- 공용면적 (共用面積, Common Area)

 

공용면적은 여러 세대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공용면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1) 주거공용면적 (Residential Common Area)

 

거주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으로, 주거시설에서 공급면적을 결정할 때 포함됩니다.

✔ 공동 현관, 계단, 복도

✔ 엘리베이터 홀, 기계실

✔ 아파트 단지 내 복도, 비상계단

 

✅ 2) 기타공용면적 (Other Common Area)

 

건물 전체에서 공유하는 시설물 공간으로, 법적 계약면적에 포함되기도 합니다.

✔ 경비실, 관리사무소

✔ 주차장, 엘리베이터 기계실

✔ 주민 편의시설(헬스장, 도서관 등)

 

📌 공용면적 예시

 

아파트 단지 내 공용시설 – 피트니스 센터, 커뮤니티 센터, 주차장 등

오피스 건물 – 복도, 화장실, 엘리베이터 홀 등

 

공용면적이 크면 실사용 면적(전용면적)은 줄어들지만, 생활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음.

 

 

 

 


- 공급면적 (供給面積, Total Supply Area)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 분양 광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개념

✔ 실제 거주 공간(전용면적) + 복도, 계단 등 공동 사용 공간 포함

 

📌 공급면적 예시

 

✅ “공급 112㎡, 전용 84㎡”라면?

✔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전용면적)은 84㎡

✔ 공용 공간(주거공용면적)은 28㎡

 

공급면적은 계약 면적과 다르며, 분양가 책정 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계약면적 (契約面積, Contracted Area)

 

계약면적 = 공급면적 + 기타공용면적

✔ 법적으로 계약서에 기재되는 면적

✔ 오피스텔, 상업시설, 업무용 빌딩에서 중요

 

📌 계약면적 예시

 

✅ 오피스텔 “전용 50㎡, 계약 80㎡”라면?

✔ 실제 사용 가능한 공간은 50㎡

✔ 복도, 계단, 주차장 등의 공용 면적 포함 시 80㎡

 

오피스텔이나 상업시설의 경우, 계약면적과 전용면적 차이가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전용률 (Exclusive Rate, 실사용 면적 비율)

 

전용률 (%) = (전용면적 ÷ 공급면적) × 100

 

전용률이 높을수록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 건물 유형별 평균 전용률

 

아파트: 약 7080%

오피스텔: 약 5060%

상가 및 업무시설: 약 40~50%

 

전용률이 낮은 건물일수록 공용면적이 많다는 뜻이므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따져봐야 합니다.


- 건폐율과 용적률 – 면적 개념과 연관

 

건물의 면적 개념을 이해할 때, 건폐율용적률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건폐율 (Building Coverage Ratio)

건물이 대지(땅)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으로 계산

 

용적률 (Floor Area Ratio)

건물의 전체 연면적(층수 포함)이 대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

“연면적 ÷ 대지면적 × 100(%)“으로 계산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이 크고 밀집도가 높아짐.

 

참고 글 : • 건폐율,용적률, 쉽게 이해하기

 

건폐율과 용적률, 쉽게 이해하기

건폐율과 용적률, 내 땅에 건물을 지을 때 꼭 알아야 할 것들 건축을 시작하거나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가지면 반드시 듣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건폐율과 용적률인데요.이 두 용어는 처

doogle21.tistory.com


: 면적 개념 정리 – 한눈에 비교

구분 정의 포함 요소 예시
전용면적 실제 사용하는 공간 거실, 침실, 주방 등 “전용 84㎡”
공용면적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 복도, 엘리베이터, 계단 등 공용면적 포함 시 공급면적 증가
공급면적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주거공용 포함 “공급 112㎡”
계약면적 공급면적 + 기타공용면적 기타 공용 포함 “계약 80㎡”
전용률 실사용 면적 비율 (전용 ÷ 공급) × 100 아파트 70~80%

전용면적이 실제 생활 공간이므로 가장 중요

공용면적이 클수록 편의시설이 많아질 수 있음

오피스텔, 상업시설 계약 시 계약면적과 전용면적 차이 확인

아파트 전용률이 높을수록 실거주 공간이 넓어 유리

 

부동산 거래나 건축 설계를 할 때, 면적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