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설계 노하우/쉽게 이해하는 건축용어

포디움(Podium)이란? – 건축에서의 의미와 역할

강축사 2025. 3. 18. 21:30

건축에서 포디움(Podium) 은 저층부를 구성하는 기단부(基壇部) 를 의미하며, 주로 고층 건물의 하부 구조로 사용됩니다.

포디움은 건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며, 디자인적 요소까지 고려된 구조로, 현대 도시 건축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포디움의 개념, 역할, 장점, 그리고 적용 사례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포디움(Podium)이란?

 

✅ 포디움(Podium)의 정의

 

건축물의 저층부(보통 1~5층 정도)로, 상층부(타워)와 구별되는 건물의 기단부

 

건물의 기반 역할 – 상층부의 하중을 분산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

다양한 용도 수용 – 상업시설, 로비, 주차장, 공용 공간 등으로 활용

도시 경관 조성 – 보행자 친화적 공간을 제공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

 

포디움은 단순한 건물 하부가 아니라, 건축적·도시적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포디움의 주요 역할

 

🏗 (1) 구조적 안정성 확보

 

✔ 포디움은 고층 건물의 무게를 분산하여 건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

✔ 지진이나 강풍 등 외부 충격에 대한 내진·내풍 성능을 강화

 

🏗 (2) 다양한 용도와 기능 제공

 

상업시설 – 저층부에 상가, 카페, 레스토랑 배치

공용 공간 – 로비, 커뮤니티 공간, 피트니스센터 등 배치

주차장 – 지상 또는 지하 주차 공간으로 활용

 

포디움이 있으면 건물 기능이 다양해지고, 도시와의 연계성도 강화됩니다.

 

🏗 (3) 보행자 친화적 환경 조성

 

✔ 건물과 도로 사이의 완충 공간을 형성하여 쾌적한 보행 환경 제공

✔ 공공 광장, 조경, 벤치 등을 배치하여 도시의 공공성을 강화

 

🏗 (4) 미적 디자인 요소로 활용

 

✔ 상층부(타워)와 다른 디자인을 적용하여 건물의 독창성 강화

✔ 유리, 석재, 금속 등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시각적 조화

 

포디움은 도시와 건물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디자인적으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 포디움의 장점

 

(1) 도시와의 조화

✔ 저층부를 보행자 친화적으로 설계하여 도시 경관을 향상

 

(2) 건물 기능 극대화

✔ 주거, 상업, 업무, 공용 공간을 효과적으로 분배 가능

 

(3) 안전성과 내구성 강화

✔ 건물 하중을 분산하여 내진·내풍 성능을 향상

 

(4) 디자인 차별화 가능

✔ 타워와 대비되는 저층부 디자인으로 건축적 개성을 부여

 

포디움은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기능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포디움 적용 사례

 

🏙 (1) 국내 적용 사례

 

롯데월드타워(서울)

✔ 저층부(포디움)에 쇼핑몰, 레스토랑, 공연장, 호텔 로비 배치

 

IFC 서울(여의도)

✔ 포디움에 쇼핑몰과 공공 광장을 배치하여 보행자 접근성 강화

 

아크로 서울포레스트(성수동)

✔ 저층부에 고급 상업시설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

 

🌍 (2) 해외 적용 사례

 

버즈 칼리파(두바이)

✔ 포디움에 호텔, 쇼핑몰, 전시 공간 배치

 

허드슨 야드(뉴욕)

✔ 포디움에 상업시설과 공공 광장 조성

 

마리나 베이 샌즈(싱가포르)

✔ 포디움이 호텔 타워를 연결하며 쇼핑몰과 카지노를 포함

 

포디움이 잘 설계되면, 건물이 도시 속에서 더욱 조화롭게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포디움(Podium)은 단순한 저층부가 아니라, 건물과 도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보행자 친화적 설계, 상업 및 공공 공간 제공, 구조적 안정성 확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도시 건축에서 포디움을 활용하면, 건물의 기능과 디자인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습니다.

 

포디움이 있는 건물은 단순한 고층 건물이 아니라, 도시 속에서 살아 숨 쉬는 공간이 됩니다.

건축 설계에서 포디움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도시 환경과 건축의 가치를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